생후 8~9개월이 넘어가면 아기의 뇌는 한 단계 도약을 하게 됩니다.
뇌의 분화가 이루어지고, 감각이 세분화되어 간다고 해야 할까요? 10개월쯤 되면 아기의 행동도 많이 달라집니다.
몇 가지만 이야기해 볼까요?
이게 무슨 의미인지 아시겠어요?
하지만 다른 관점에서 보면 이제 출력(output)을 시작하는 연령으로 접어든다는 말입니다. 즉, 인풋(input)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시기이기도 합니다.
"태중~생후 9개월"까지 어떤 Input을 했느냐에 따라 아이의 Output이 눈에 띄게 달라진다는 의미이기도 하거던요.
누가 나중에 공부를 잘 할 지도 알수 있냐구요? ㅋㅋ 당근이죠. 보통 엄마들만 모르는 듯~
아직 아기뇌발달의 잠재력이 있는 시기입니다. 베이비스쿨에서 뇌발달을 도와주세요!
일반화를 이해하는 아기들의 놀라운 능력! 놀랍죠?
잘 먹고, 잘 자고, 말을 잘 듣는다. 자꾸 깬다. 많이 운다. 무지 안 먹는다... 이런 차원의 이야기를 하면서 육아를 해도 될까요? 타고난 자기 팔자대로 살 거라구요? 점점 살기가 어려워져 가고 있다는 걸 눈으로 보고 있는데도 괜찮은 걸까요?
인간에겐 먹고, 자는 것 이상의 중요한 일이 많이 있는데도 말입니다.
엄마공부를 하지 않아도 아이를 먹이고 재우며 잘 키울 수는 있을 지 모르지만 아기의 뇌발달을 도와주기란 쉬운 일이 아닙니다.
하버드, 스탠포드, 예일대, UBC와 같은 전 세계 최고의 대학들이 한결같이 수 백만원의 "0세~3세의 교육프로그램"을 소개하고 있습니다.
결국 이 시기가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시기이기 때문입니다.
어린 아기들이 의도를 보고 선, 악도 구별합니다
임신 중 태아 마저도 사람의 얼굴모양을 선호한다고 하니 인간의 잠재력은 어디까지일까요?
누가 좋은 사람인지, 나쁜 사람인지 아이들은 어떻게 평가를 하는 걸까요?
아이들이 살아 갈 미래는 훨씬 힘든 세상입니다
절대 혼자 키울 수 없습니다. 그렇다고 카더라 통신과도 같은 친구들의 말만 들어서도 안 됩니다. 친구도 필요하지만, 반드시 멘토링을 받아야 합니다.
귀하고 귀한 시간이 자꾸만 흘러갑니다.
우리 아이들은 AI와 경쟁하며 살아가야 합니다. 1가지 기술만 가지고는 잘 살아갈 수 없다고도 합니다. 그렇다고 우리가 아는 것도 딱히 없는데 어떡하냐구요? 그래서 정신 바짝 차리고 함께 육아공부를 해야 합니다.
전문가들은 전문가대로 노력하고, 엄마들은 엄마들끼리 노력하면서 이 아이들을 키워나가야 합니다.
지금 베이비스쿨에 가입하세요!
아래 신청서를 제출하시면 자세한 안내문을 보내드립니다
연결된 입력폼이(가) 없습니다.